LH·세종교통공사 공동 공동시행, 2029년 완공 예정
토지 보상금 풀리면서 대토수요 등 시장 기대감 커
공주, 청주, 대전, 논산 등 인근 지역까지 영향 미칠 듯
농지 기피, 부동산 기대수익 제한적이란 여론도 제기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토지보상과 함께 본격화되면서 지역 부동산 시장이 들썩거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예상 보상금 1조 5000억 규모로 천문학적인데다 농지 대토 수요와 아파트, 건물 등 수익형 부동산 수요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1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다음 달 중으로 스마트 국가산단에 대한 토지 보상 절차에 들어가면서 세종은 물론 공주, 논산, 대전 등 인근 지역의 부동산 시장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같은 전망은 지역에서 행정도시 보상이후 최대 규모로 면적이 세종시 연서면 와촌리 일원 275만 3000㎡(84만평)에 토지보상금이 1조 5000억 원대에 달하기 때문이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은 세종시가 주관이 돼 지난 3월 토지소유주 대표, 시, LH, 세종도시교통공사 관계자 등 12명으로 구성된 보상협의체도 꾸려, 토지보상법에 따라 보상액 평가, 이주대책 수립 등 제반 절차를 추진해 왔으며, 모든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돼 토지보상이 임박한 상황이다.
다음달부터 토지 보상금이 본격적으로 풀리면인근 지역 부동산 시장에도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농지의 경우 세금 부과 등을 고려해 대토 수요가 예상되는데다 거액의 토지 보상금을 받는 주민의 경우 토지, 아파트, 임대 건물 등 부동산 투자를 염두에 둔 수요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벌써부터 장군면과 부강면 등 세종시 인근 부동산 업소에는 매물과 가격 등을 문의하는 전화가 간간히 걸려오고 있다. 부동산 업소 관계자는 토지 보상금이 본격적으로 풀리고 추석이 지나면서 부동산 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아파트와 수익형 건물 등과는 달리 농지에 대한 대토 수요는 제한적인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농지 보상을 받는 농민들 상당수가 고령으로 영농에 대한 부담감이 크기 때문으로 대체 수요가 농지를 제외한 부동산 쪽으로 몰릴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장군면의 한 중개업수 관계자는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 토지보상이 시작되면 지역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할 것"이라고 진단하면서 "농지보다는 수익형 부동산 쪽으로 몰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는 세종도시교통공사 15%, 한국토지주택공사 85% 지분으로 참여해 토지보상과 2026년 착공 및 분양을 거쳐 2029년 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산업단지는 미래 모빌리티, 스마트시티, 바이오 분야 등 신소재·부품 산업 클러스터로 조성될 예정으로 행정수도 세종의 경제 기반 및 자족기능 확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