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세종특별자치시에 SK실트론 웨이퍼 공장 설립을 추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도체의 원재료인 웨이퍼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물이 필요한데 지방자치단체 간 용수 공급을 둘러싼 갈등 때문에 첫 삽을 뜨기까지는 상당한 험로가 예상된다.
SK실트론 세종공장 타진...SK하이닉스 청주-이천 공장과 지리적 가까워
17일 머니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SK그룹은 세종시 연서면에 위치한 '스마트시티 국가산업단지'에 SK실트론 웨이퍼 공장 신설과 관련해 정부와 세종시 등과 논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웨이퍼는 반도체의 집적회로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원판으로, 실리콘을 얼마나 더 크고 얇게 만드느냐가 핵심 기술로 꼽힌다.
SK실트론은 경상북도 구미시에 웨이퍼 공장을 갖추고 있다. 세종시를 추가 공장 부지로 검토한 것은 SK하이닉스 공장이 있는 충청북도 청주시(약 30분), 경기도 이천시(약 1시간)와 비교적 근거리인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SK하이닉스는 AI(인공지능) 반도체 공정을 갖추고 있는 청주 M15 증설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에서는 GPU(그래픽 처리장치)에 들어가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일부 물량을 맡는다.
만약 SK실트론이 세종시에 대규모 웨이퍼 공장을 본격 가동할 경우 SK하이닉스가 1위를 차지하고 있는 HBM을 중심으로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일대 지각변동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 같은 청사진과 달리 일부 지자체는 용수 공급에 난색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SK실트론이 추정한 하루 평균 물 사용량은 4만t(톤)으로, 세종시 스마트 국가산단에 할당된 총량을 훌쩍 뛰어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2년에는 SK하이닉스와 여주시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26만5000t에 달하는 용수 공급을 놓고 평행선을 달리다가 당정의 중재로 겨우 합의했다.
공업 용수 두고 지자체 갈등 반복...삼성 평택도 100㎞ 떨어진 미사리에서 공급
특히 세계 최대 반도체 공장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는 용수 일부를 약 100㎞ 떨어진 경기도 하남시 미사리에서 끌어다 쓸 정도로 물 공급은 반도체 업계가 직면한 최대 난제다. 세종 관가 안팎에서는 세종시에 중앙부처를 비롯해 대학(서울대 등 공동캠퍼스), 고급 일자리까지 집중되는 것에 대한 지자체들의 위기감이 용수 공급에 투영된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삼성전자가 오는 2047년까지 360조원을 쏟아붓는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가 2030년 말 첫 가동할 수 있도록 관련 인허가를 대폭 단축하고 환경부와 용수공급 계획 등을 공동 논의하기로 했다. 다만 그간 전례에 비춰볼 때 용수 문제로 착공이 늦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
이날 박상우 국토부 장관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남석우 삼성전자 사장 등과 만나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관련 협약식을 맺고 용수 공급을 필두로 각종 규제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박 장관은 "기업의 적기 투자를 이끌어 내는 차원에서 지자체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